한국사 조선 왕 순서 및 계보 & 이름, 연도 및 업적 순서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사 조선 왕 순서와 계보, 연도 및 업적 순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사 수험이나 한국사능력시험, 또는 공무원 한국사를 준비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글도 참고해보세요.
9급 공무원 한국사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기출 선지 정리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백제 문화 정리
공무원 한국사 고구려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 고구려 문화 특징까지
공무원 한국사 통일신라 역대 왕 순서, 업적 및 문화 정리
1392년 태조
도첩제 실시
정도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불씨잡변, 요동 정벌
1398년 정종
1차 왕자의 난, 사병 혁파
향약제생집성방 간행됨
1400년 태종
2차 왕자의 난 (박포, 논공행상)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편찬, 팔도도, 계미자 주조
도평의사사 폐지, 6조 직계제 실시
사간원 독립, 8도제 확립,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
호패법 실시
사섬서, 저화 발행
상서사의 인사기능을 이조,병조에 귀속시킴
1418년 세종
이종무, 대마도 정벌(기해동정)
경자자, 갑인자 주조
사창제, 금부상복법 실시
창경궁 건설
농사직설 (정초, 녹비법을 활용하여 지력을 회복함)
이앙법 소개, 직파법 장려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신주무원록, 의방유취, 삼강행실도, 칠정산, 총통등록, 여민락, 정간보
공법 시행(답험 폐단을 없애고 연분 9등법, 전분 6등법으로 세분화)
1426년 삼포 개항(부산포,제포,염포)
1433년 여진 정벌, 최윤덕 4군 설치
1436년 의정부서사제 시행
1443년 훈민정음, 계해약조(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
1450년 문종
동국병감, 고려사, 고려사절요 편찬
1452년 단종
계유정난
1455년 세조
6조 직계제
국조보감, 월인석보, 간경도감 설치, 보법 실시
경국대전 편찬 시작
인지의, 규형 제작
직전법 (토지 지급 대상을 현직 관리에 한정시킴)
강희안 양화소록: 화초재배법 소개
이시애의 난: 함경도 토착 세력 이시애가 유향소를 거점으로 일으킨 난
이시애의 난 진압 후 유향소 폐지
1468년 예종
1469년 성종
관수관급제, 안동권씨 성화보, 동국통감(편년체),해동제국기(신숙주)
경국대전 반포, 악학궤범, 국조오례의, 삼국사절요(편년체)
1488년 유향소 복설, 사창제 폐지, 도첩제 폐지
1494년 연산군
신언패를 차게 하여 언론 탄압
1498년 무오사화: 초나라 희왕, 의제 조문 김일손 사초로 인해 김종직 숙청
1504년 갑자사화: 어머니를 폐비한 일을 우너망
1506년 중종
중종반정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동몽선습, 현량과 실시(조광조)
1510년 삼포왜란: 비변사를 임시기구로 설치함
1512년 임신약조: “삼포에 거주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고, 세견선 50척을 절반으로 감하고” -> 제포만 개항,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
1519년 기묘사화 “뇌물을 바쳐서 공신이 된 자를 공신록에서 삭제”
조광조 여씨향약 도입
1543년 주세붕, 백운동 서원(최초 서원), 안향 배향
1544년 인종
1545년 명종
을사사화: 대윤, 소윤 > 문정왕후 수렴청정
양재역 벽서사건
직전법 폐지: 수조권 소멸, 녹봉만 지급, 지주전호제가 확대됨
1555년 을묘왜변, 비변사 상설기구화
1559년 임꺽정의 난: 황해도 양주 지역, 구월산
1567년 선조
1575년 동서 분당
1583년 니탕개의 난
1589년 정여립 모반사건: 동인에서 남인+북인으로 분열됨
1591년 건저 사건: 서인의 정철이 타격을 입음
1592년 임진왜란
1594년 속오군 설치
1608년 광해군
대동법 실시(김육): 선혜청, 공인, 방납 폐단, 가호에서 토지 결수로 기준을 바꿈
중립외교
1609년 기유약조
1623년 인조
인조반정, 모문룡 가도사건
어영청 설치
이괄의 난
총융청, 수어청 설치
1627년 정묘호란
1635년 영정법 실시 (풍흉 관계 없이 1결당 4~6두 징수)
1636년 병자호란: 청의 군신관계 요구, 왕실 강화도로 피난, 삼전도 굴욕, 군신관계 체결
1649년 효종
북벌론: 어영청 강화, 남한산성 복구
설점수세제 시행, 시헌력 도입, 양척동일법
1658년 나선 정벌 (영고탑, 조총 부대 파견)
1659년 헌종
기해예송: 송시열과 윤휴의 대립, 인조의 계비, 서인 1년복 승리 (경국대전 규정에 따라 기년복으로 결정)
1674년 갑인예송
1674년 숙종
윤휴의 북벌운동
상평통보 발행
폐사군 일부 복설
금위영 설치
이순신의 사우에 현충이라는 호를 내림
1680년 경신환국, 기사환국
1694년 갑술환국
1696년 안용복,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
1703년 만동묘, 대보단 설립
1720년 경종
신임사화
1724년 영조
노비종모법, 탕평비
이조전랑 권한 약화
균역법 시행
악형 폐지
삼심제 시행, 신문고 부활
청계천 준천
영조 시대 저서:속대전, 동국문헌비고, 속오례의, 병장도설, 속병장도설 동국지도, 택리지, 의산문답
1728년 이인좌의 난(노론 일당 전제화)
1776년 정조
규장각 설치
서얼 통청운동
초계문신제 시행, 대유둔전, 장용영 설치
서울 주변의 네 유수부가 서울 엄호하는 체계 구축
수령의 향약 주관
대전통편, 무예도보통지(이덕무, 박제가), 탁지지,
동문휘고, 자휼전칙, 고금도서집성(청에서 수입),
해동농서(서호수), 마과회통(정약용), 청장관전서(이덕무)
1791년 신해통공, 진산 사건(윤지충 신주 불사름)
1795년 을묘박해(이승훈 귀양)
1800년 순조
공노비 해방
신유박해: 이승훈, 정약종 참수, 정약용 유배(자산어보 저술), 주문모 처형, 최초 대대적 탄압
황사영 백서사건
안동 김씨 세도정치
1811년 홍경래의 난
1839년 기해박해: 정하상 상재상서, 척사윤음 반포
1849년 철종
신해허통: 문과 합격자 서얼 차별 폐지
1860년 최제우 동학 창시
1862년 임술농민봉기: 진주 백낙신의 횡포로 삼정이정청(박규수 건의)
'공무원 수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충북 지방직 9급 합격선 공무원 필기시험 합격 공고 및 커트라인 알아보기 (0) | 2023.07.26 |
---|---|
2023년 세종시 지방직 9급 공무원 필기시험 합격선 합격 커트라인 점수 공고 (0) | 2023.07.26 |
2023년 강원도 지방직 9급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합격선 공고 합격 커트라인 (0) | 2023.07.20 |
2023년 전북 지방직 9급 공무원 채용 필기시험 합격선 합격 커트라인 공고 (0) | 2023.07.20 |
2023년 경기도 지방직 9급 공무원 채용 필기시험 합격선 공고 (0) | 2023.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