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려 왕 계보 및 연도, 업적 정리
한국사 고려 왕의 계보와 순서, 연도, 업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열심히 정리한 포스팅이니 공부할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글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사 발해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공무원 한국사 통일신라 역대 왕 순서, 업적 및 문화 정리
신라 왕 계보 및 업적, 문화, 비석 정리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백제 문화 정리
공무원 한국사 고구려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 고구려 문화 특징까지
9급 공무원 한국사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기출 선지 정리
연도 & 왕 계보 순서
918 태조 왕건, 고려 건국, 흑창 설치, 역분전 지급, 사심관, 기인, 서경 중시, 청천강-영흥
927 공산전투, 후백제 승, 경순왕 즉위
930 고창 전투, 고려 승
934 발해 귀화(발해국의 세자 대광현)
935 견훤 금산사 유폐, 신라 항복
936 후백제 일리천 전투, 견훤 귀순
940 역분전: 후삼국 통일 중 논공행상,인품과 공로에 따라 지급
943 혜종 왕규의 난
훈요 10조: 불교 장려, 서경분사제도, 팔관회(외국 상인 무역의 장) cf. 소격서가 주관한 것: 초제
945 정종 광군
949 광종 노비안검, 과거제(제술과/명경과, 잡과, 승과),
- 공복 제정, 호족 숙청, 쌍기 등용
- 제관,의통 천태학, 귀법사, 제위보(빈민 구제)
- 송 연호 사용, 주현공부
- 칭제건원(개경 황도, 서경 서도)
975 경종 시정전시과
981 성종 2성6부제 정비, 향직 정비, 12목 설치 경학박사 파견, 국자감 정비, 문신월과법
노비환천법, 의창, 상평창 설치, 환구단, 풍년기원, 사직(지신,오곡신 제사), 중추원 설치
993 거란 1차 침입, 강동6주(거란 맞닿은 왼쪽)
997 목종 개정전시과, 강조의 정변(개경)
1009 현종 거란 2차 침입(양규),나주로 피난, 초조대장경 조판
1013 7대실록 편찬
1018 향리 공복제 제정
1019 거란 3차침입, 귀주대첩 – 개경 주위 나성, 천리장성 축조
1034 정종 천리장성 완공
1046 문종 사형 삼복제, 공음전시법, 과거제 규정, 개경 시전 관할 위한 경시서 설치
1095 숙종 주전도감(삼한통보, 해동통보, 은병, 활구 발행), 남경 천도 건의(풍수지리)
1101 서적포 설치, 남경개창도감 설치
1104 윤관의 별무반(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1105 예종 윤관 동북 9성 설치, 혜민국, 청연각, 보문각, 양현고 설치
1108 감무 파견, 구제도감 설치, 국자감 7재 설치
1109 동북9성 반환
1122 인종 고려도경(서긍)
1126 이자겸의 난, 금과 사대관계 수용
1128 서경 천도 운동, 대화세, 묘청(연호 대위, 천개)
1146 의종
1170 명종 무신정변
정중부, 이의방
1173 김보당의 난
1174 귀법사 승려의 난, 조위총의 난(서경)
1176 망이.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1179 경대승 도방 설치
1183 이의민
1193 김사미.효심의 난, 운문.초전의 난
1196 최충헌 봉사10조 (신종)
1198 만적의 난
1200 도방 재설치, 이비.패좌의 난(경주, 신라부흥)
1209 교정도감
1213 고종 해동고승전(각훈), 최우
1219 강동성 전투: 고려,몽골, 여진 연합군이 강동성 격파
1225 정방 설치, 서방 설치, 삼별초, 야별초+신의군, 개경 환도 반대해 대몽 항쟁
1231 몽골 1차침입, 저고여, 박서 귀주성, 충주성 전투
1232 강화 천도, 2차 침입
1235~ 몽골 3차 침입, 대장도감 설치(향약구급방)
1237 이연년 형제의 난
1239 팔만대장경 조판 시작, 황룡사,황룡사9층목탑 소실
1253 몽골 5차 침입, 충주성(김윤후)
1254 6차 침입, 다인철소 전투
1259 세조 구제(몽골과 강화)
1270 서경 동녕부 설치, 개경 환도, 삼별초 항쟁, 진도(배중손)-제주도(김통정) 1273년 몽골 연합군 진압
1274 충렬왕 공녀, 관제격하(도병마사>도평의사사)
1280 정동행성 설치, 일본 원정 추진
1290 동녕부 폐지/반환
1298 충선왕 정방 폐지, 사림원 설치
1298 충렬왕 2기
1301 탐라총관부 반환
1308 충선왕 2기 근친혼 금지, 각염법, 입성책동, 만권당(이제현)
1334 충목왕 경천사지 10층 석탑
1351 공민왕 반원 개혁,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1356 쌍성총관부 수복
1361 홍건적 2차 침입(복주, 안동 피난), 흥왕사의 변
1370 요동 공략, 동녕부 공격, 자제위 설치
1374 우왕 개경 경시서 설치
1376 홍산대첩(최영)
1380 진포대첩(최무선), 황산대첩(이성계)
1388 명, 철령위 설치 통보, 위화도회군, 폐가입진
1389 공양왕
1391 삼군도총제부 설치, 과전법 실시
'공무원 수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및 임용고시 교육학개론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 (0) | 2023.06.02 |
---|---|
2023년 국가직 7급 공무원 채용 인원 및 합격선, 경쟁률 정리 (0) | 2023.05.30 |
한국사 발해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0) | 2023.04.30 |
행정법 공권과 공의무 관계 판례,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판례 (0) | 2023.04.29 |
교육학개론 서양교육사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 특징 및 사상가 정리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