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공무원 및 임용고시 교육학개론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

by ongikku 2023. 6. 2.
반응형

교육학개론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교육학개론 종교개혁 특징 및 루틴, 칼뱅 정리
교육학개론 서양교육사 고대 철학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비교
교육학개론 서양교육사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 특징 및 사상가 정리
교육학개론 로마의 교육, 중세의 교육 비교 정리
공무원 및 임용 수험 교육학개론: 오코너, 허스트 및 서양교육사 고대 그리스 교육 정리

 

 

반응형

 

 


 

1. 인지적 영역

1-1. 지식

지식이란 사실, 개념, 원리, 방법 등 이미 배운 내용을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으로서, 단순재생능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원소주기율표의 원자기호를 쓰거나 과학원리를 쓰는 행동을 예로 들 수 있다. 
 

1-2. 이해

이해란 지식을 바탕으로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지식처럼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이 아니라 자료의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번역, 해석, 추리 능력과 같은 영역이 이해에 포함된다. 
 

1-3. 적용

적용이란 개념, 원리, 방법 등 추상 개념을 구체적 사태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1-4. 분석

분석이란 주어진 자료를 부분으로 분해하여 부분 간 상호관계를 발견하는 능력이다. 분석은 요소를 분석하거나 관계의 분석, 조직원리의 분석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1-5. 종합

종합이란 여러 가지 요소나 부분을 새로운 의미체계가 성립되도록 하나의 전체로 묶는 능력으로 창의적인 능력을 포함한다. 독특한 의사전달방법을 창안하거나, 조작의 계획 및 절차를 창안하고 추상적인 관계를 도출하는 능력이 종합에 포함된다. 
 

1-6. 평가

평가란 어떤 준거를 활용하여 자료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이다. 평가는 내적 준거에 의한 평가와 외적 준거에 의한 평가로 나뉘는데, 내적 준거에 의한 평가란 내적 일관성과 논리적 정확성, 내적 결함 유무를 판단하는 평가이며, 외적 준거에 의한 평가는 선정된 준거나 기억된 준거에 의해서 특정 신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2. 정의적 영역

2-1. 감수(수용)

어감수 또는 수용이란 어떤 자극이나 활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수용하는 것이다. 
 

2-2. 반응

반응이란 어떤 자극이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만족을 얻는 것이다. 
 

2-3. 가치화

가치화란 특정 대상이나 활동에 가치를 추구하고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치채택, 가치수용, 가치확신 등으로 나타난다.
 

2-4. 조직화

조직화란 서로 다른 가치들을 비교하고 종합하여 일관된 가치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2-5. 인격화

인격화란 가치가 일관성 있게 내면화되어 인격의 일부가 된 상태를 말한다. 가치관이 생활양식으로 발전하여 개인의 행동 기준이 된 상태를 의미한다. 
 
 
 
 
 
 

3. 심동적 영역

3-1. 반사운동

반사운동이란 개인의 의지와 무관한 동작이다
 

3-2. 기초운동

반사운동이 여러 개 통합되어 형성되는 단순 동작
 

3-3. 지각 능력

주변 자극을 지각하고 해석하여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다
 

3-4. 신체능력

숙련된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신체 기관의 기능적 능력을 말한다
 

3-5. 숙련된 운동

단순 동작과 달리 비교적 복잡하고 숙련된 운동기능을 의미한다
 

3-6. 동작적 의사소통

신체적 동작을 통해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하는 것으로, 무용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