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공무원 시험 기본 과목별 인강 및 교재 추천 (국어, 영어, 한국사)
이번 포스팅에서는 9급 공무원 시험을 대비하여 시험 과목 별 인강 및 강사, 교재를 추천하려고 합니다.
저는 초등학교 1학년 아이를 키우면서 9급 공무원 공부를 진행했는데, 그만큼 하루에 투입할 수 있는 순공시간이 짧아 공부에 있어서 효율을 중요시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대비 효율이 높았던, 저한테 잘 맞았던 공부법, 인강, 선생님, 교재를 추천하려고 합니다.
서울시 9급 교육행정직 공무원 합격 후기 (시험 경쟁률, 난이도, 수능과 비교, 준비기간, 공부량)
2024년 국가직 5급 7급 9급 공무원 채용 시험 일정 공고
1. 선택 기준
- 시간 대비 효율이 높을 것
- 교재 가독성이 좋을 것
- 커리큘럼 및 모의고사 문제 퀄리티가 좋을 것
저는 이 세 가지 기준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국어를 공부하면서도 한자는 최소한의 양만 투자하고, 제가 부족한 점을 찾아 위주로 공부했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정답이 아니라는 것 먼저 참고 부탁드립니다.
제 하루 순공시간은 아무리 많이 해도 5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1년을 꾸준히, 제가 모르는 것 위주로, 틀리는 것 위주로 정리해서 시험 전날 단권화를 하고 나니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공무원 국어
1. 비문학 및 문법: 공단기 이선재 (인강은 굳이..?)
국어는 먼저 지방직 시험은 비문학 위주로 많이 나오고 한자 비중은 최소한으로 나오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는 국어 강의는 따로 듣지 않고, 공단기 이선재 선생님 개념서 한 권을 산 뒤 이선재 선생님 교재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를 사서 계속 풀었습니다. 국어 강의는 특히 인강 수가 너무 많은데 인강은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해서 처음에 인강을 보다가 필요성을 못 느껴서(시간 대비 효율성이 낮음) 보지 않고, 기출문제 회독을 늘리고 모의고사를 함께 병행하면서 모르는 부분을 채워 나간 것이 가장 좋았습니다.
모의고사 교재 리스트
- 신민숙 매일 하프모의고사 : 매일 감 잡는 용으로, 또는 시간 없을 때 하프 모의고사로 풀어보면 도움이 되는데, 실전에서 하프만 푸는 건 아니기 때문에 장단점이 있었습니다.
- 해커스 실전동형 모의고사 / 파이널 봉투 모의고사 : 최대한 모의고사를 실전처럼 세팅해서 많이 풀어보았는데 해커스 실전동형 모의고사를 많이 풀어보았습니다. 가끔 좀 문제가 사설스럽게 내져 있는 것들도 있는데, 모의고사 점수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실전처럼 연습해 본다 위주로 모의고사를 이용했습니다.
- 에듀윌 실전동형 모의고사 : 저는 해커스 공무원 모의고사를 많이 풀었는데, 다른 문제 스타일도 익힐 겸 에듀윌 문제집도 참 좋았습니다.
- 이선재 선재국어 나침판 기출 변형 모의고사 : 이선재 선생님 모의고사도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시중에 있는 모의고사를 여러 권 접해보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게 인강을 보는 것보다 훨씬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2. 한자 :공단기 김병태 (국왕한자 인강 추천)
저는 한자가 많이 취약해서, 솔직히 '나오면 찍고, 틀리더라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공부했는데요. 한자까지 챙겨가기엔 제 행정법과 교육학(행정학) 점수가 간당간당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자는 최소한의 양만 공부했는데요. 처음에는 한자 공부를 할 때 국왕한자 교재를 사고 인강을 좀 들었습니다. 국왕한자 인강은 조금 추천드리는 게, 그 많은 방대한 양의 한자를 모조리 외우게 하고 사자성어를 주입시키는 게 아니라 한자의 원리를 조금 알려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 생소한 한자가 나와도 이게 말이 된다, 안 된다는 조금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저는 인강 조금 듣고, 한자를 그렇게 외우지 않았는데 국어에서 나온 한자를 감으로 찍어서 운 좋게 맞았습니다.
지방직 합격 시 점수: 95점
공무원 영어 (모의고사, 기출문제 많이 풀기+ 여력이 된다면 국회직 기출 회독)
저는 공무원 국어도 그렇고 영어는 인강 볼 시간이 없어서 최대한 '양치기' 스타일로 해결했습니다. 한국사와 행정법, 교육학 인강만 듣는 데도 벅찼거든요. 저한테 쥐약은 특히 행정법이었기 때문에 (암기가 쥐약) 행정법 위주로 듣느라 영어는 인강에 할애를 못했습니다. 대신 기출문제를 계속 돌리고, 어려운 국회직 기출문제와 함께 실전동형 모의고사를 풀고 나온 영단어, 숙어, 문법 오답을 단권화하는 것으로도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영어에 내가 약한 점이 어디인지, 독해 / 문법 / 단어 및 숙어 중 어느 곳이 약한지 파악한 후, 이를 보완하는 교재를 사서 공부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독해라면 매3독이나 수능이나 다른 시험 독해요 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연습하고, 저도 문법은 모르는 게 종종 나와서 문법 O/X 판별하는 문제집을 사서 풀고, 단어와 숙어는 기출문제 중 틀리거나 몰랐던 단어를 정리하는 정도로 연습했습니다.
모의고사 교재 리스트
- 이동기 실전동형 모의고사 : 저는 실전동형 모의고사도 많이 도움이 되었는데, 그중 이동기 모의고사가 난이도도 괜찮고 좋았습니다.
- 해커스 실전동형 모의고사 / 파이널 봉투 모의고사 : 해커스, 에듀윌에서 나온 실전동형이나 파이널 봉투 모의고사도 실전 연습 삼아 풀기 좋았습니다.
- 에듀윌 실전동형 모의고사: 시중에 있는 모의고사를 여러 권 접해보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게 인강을 보는 것보다 훨씬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문법 추천 교재 : 손진숙 영문법 900제
영문법 유형을 많이 접하면서 모르는 부분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 좋았던 교재입니다.
지방직 합격 시 점수: 95점
공무원 한국사 (메가 전한길 인강+ 필기노트 병행 + 단권화)
한국사 인강은 전한길을 들었는데요. 필기노트 교재가 워낙 잘 되어있다보니 인강을 자연스럽게 듣게 되었습니다.
인강의 단점은 조금 옆길로 새는 말이 많다는 점인데, 저는 워낙 시간이 없어서 그런 부분은 스킵해서 듣거나 1.5배속으로 해서 들었습니다.
전한길 선생님 필기노트와 함께 1회독을 한 후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풀면서 한국사를 제가 따로 단권화해 나갔습니다.
한국사 교재 추천 / 비추천
전한길 선생님 "빵꾸노트"는 제 기준으로 조금 활용도가 낮았고, 아무래도 필기노트가 제일 효과가 좋긴 했습니다.
전한길 선생님 기출문제집도 양이 많고 유형별로 잘 정리되어 있어서 이 책 한 권만 사서 회독을 계속 돌려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한국사 나만의 필기노트 / 단권화 만드는 방법
1. 필기노트에 맞춰 인강을 쭉 한 번 듣는다.
2. 기출문제 및 모의고사를 여러 번 풀어가면서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헷갈려하는지 형광펜으로 색칠 또는 필기노트 옆에 찾아서 적는다.
(내가 모르는 부분을 필기노트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찾아가는 과정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3. 여러 번 회독 후 그렇게 필기가 쌓인 나만의 필기노트를 단권화한다.
저는 이 단권화를 할 때 컴퓨터에 옮겨 제가 모르는 부분, 또는 자주 틀리는 부분만 발췌해서 나만의 필기노트를 만들었습니다. 만드는 시간은 꽤 걸리긴 했지만 만들고 나니 시대도 훨씬 구분이 잘 되고 공부도 되고 좋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면 이 부분은 생략해도 될 것 같아요.
제가 단권화했던 부분을 블로그에 가끔씩 올리고 있는데, 아래 글 참고해보시면 어떤 식으로 단권화를 했는지 아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각자 방식에 맞게끔 단권화하는 과정도 공부에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사 조선 왕 순서 및 계보 & 조선 연도 및 업적 순서 정리
지방직 합격 시 95점
이상으로 제가 도움이 되었던 공부방법 및 인강, 교재, 선생님 위주로 추천을 드렸는데요. 공무원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인강과 기본서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기출문제집 회독, 실전처럼 모의고사 연습하는 것을 병행한다면 충분히 좋은 결과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공무원 수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리직 공무원 하는 일 시험과목 및 합격선, 경쟁률 총정리 (0) | 2024.10.03 |
---|---|
근대 한국사 경세치용 농업 중심 개혁론 vs 이용후생 상업 중심 개혁론 학자 비교(유형원,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정약용 등) (0) | 2024.02.13 |
공무원 행정법총론 행정구제 및 손해배상 책임요건, 판례 정리 (1) | 2023.11.03 |
서양교육사 20세기 현대 교육철학 신교육운동 정리 (1) | 2023.10.26 |
2023 국가직 7급 공무원 전직렬 커트라인 및 예상 합격선 (0) | 2023.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