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공무원 임용 수험) 교육학개론: 교육관 피터스 오코쇼트 차이 및 교육 대상에 따른 교육 특징 정리

by ongikku 2023. 3. 18.
반응형

(공무원 임용 수험) 교육학개론: 교육관 피터스 오코쇼트 차이 및 

교육 대상에 따른 교육 특징 정리

 
오늘은 교육학개론 중 다양한 교육관에 대한 특징을 정리해보고, 피터스와 오코쇼트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또한 교육 대상에 따른 교육이 어떻게 달라지고 용어가 어떻게 되는 지 등 그 특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교육관 특징

 

1)      주형으로서의 교육관

  • 피동적
  • 타율적
  • 행동주의 심리학과 연결됨

 

2)      주입으로서의 교육관

  •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주입형 교육관 
  • 전통적 교육관에 속함
  • 전달되는 지식은 지적 권위를 갖는 성인들이 가치롭다고 믿는 것들이다.
  • 교육을 잘 받은 인간은 기존의 지식 체계를 잘 습득하여 기존의 사회체제에 적응하는 인간으로 본다.

 

3)      성년식으로서의 교육관

  • 합리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교육관
  • 지적인 안목 바탕으로 인류의 문화유산이라는 공적인 전통으로 안내하기 위한 교육관

 

4)      행동수정으로서의 교육관

  • 강화, 벌 기법을 이용하여 행동을 수정함
  • 행동수정을 통해 인간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고 통제하는 것이 교육이라고 본다.

 

5)      도야로서의 교육관

  • 형식도야설에 근거함
  •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근거가 됨
  • 학습의 전이설과 관련됨
  • 학습의 전이란 예전에 본, 특정 장면에서 학습한 지식이 새로운 장면을 학습할 때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뜻한다. 예를 들어 개인의 선행 경험이 새로운 지식을 공부할 때 영향을 미친다면 학습의 전이가 일어난 것이다.

 

6)      발달로서의 교육관

  • 루소와 연관됨
  • 아동의 흥미와 자유로운 활동을 강조하는 아동중심 교육관을 제시 
  • 루소의 자연중심주의, 아동중심 교육관은 20세기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7)      성장으로서의 교육관

  • 듀이, 아동, 현재의 생활경험 중심의 재구성 과정.
  • 경험을 통한 성장 과정을 중요시한다.
  • 내부에 잠재된 가능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진정한 교육으로 본다.
  • 교육의 중심은 교사나 교과내용이 아닌 학습자다. 

 
 

반응형

 
 

피터스와 오코쇼트의 교육개념 차이 

 

1)     피터스

  • 규범적 준거는 가치 지향적이며, 기본적 전제조건으로서 역할을 한다. 
  • 인지적 준거는 주지주의와 관련되며, 넓고 깊은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교육은 광의의 신념체계를 변화시키는 전인적 교육으로서, 전문화된 훈련과는 구별된다는 입장을 뒷받침한다. 지식과 이해를 중시하며, 인지적 안목을 기르는 것을 중요시하는 관점이다.
  • 방법적 준거는 도덕적 준거, 또는 교육과정의 준거라고도 불리며, 합리적인 마음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이론적 합리성과도 관련이 있다. 피터스의 과정적 준거는 학습자의 의식과 자발성을 전제하는 관점이다. 
  • "훈련이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기르는 것이고, 교육은 넓은 신념체계를 다루는 일이다"
  • 피터스는 듀이와 함께 내재적 목적을 가진 교육을 강조하였던 교육자이다.
  • 지식의 형식, 이론교과를 규정하고, 선험적 논의라는 방식으로 정당화하였다.
  • '지식의 형식에의 입문'이라는 키워드는 피터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2) 오코쇼트

  • 항존주의와 관련됨
  • 문명으로서의 교육, 초월과정으로서의 교육, 대화로서의 교육으로 나누어 교육을 설명함.
  • 문명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은 인류가 성취한 문명에 들어서는 교육을 뜻한다.
  • 초월과정으로서의 교육은 실용교육과 반대되는 말로,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기보다 이를 초월한 영원하고 보편적인 것을 추구해야 함을 의미한다.
  • 대화로서의 교육이란 교사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 지식을 방법적 지식으로 나누어 "~를 할 줄 안다" 로 표현되는 지식을 방법적 지식으로 표현하였다. 오코쇼트는 실제적 지식이라는 말을 사용하였고 이는 과정적, 절차적 지식으로도 불리며, "묵락지"라고도 표현되었다.

 


 

교육의 대상에 따른 교육관 차이 정리

 

1)      아동교육

 - 페다고지
 - 대표: 헤르바르트
 

2)      성인교육

 - 대표: 안드라고지, 놀즈
 - 성인자기주도학습
 - 메타인지적, 전환학습(메지로우가 창시함)

 

3)      노인교육

 - 제라고지
 - 65세 이상 노인을 교육하는 것을 의미함
 - 대표: 라벨

 

4)      평생교육

 - 교육사회학과 연관됨
 - 1965년 유네스코의 성인교육추진국제위원회에서 랭그랑이 구상하여 처음 제시하였다.
 

5)      전인교육

 - 지,덕,체의 조화를 중시함
 - 교육입국조서도 전인교육을 중시한 사례이다.
 - 대표적: 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
 

6)      통합교육

 - 최소제한적 환경을 중시한다.
 -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상적인 사회적응 능력을 발달 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 장애아를 정규 학급에 통합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7)      영재교육

 - 일반 능력(평균 이상의 지능), 창의성, 과제 집착력을 영재의 3요소로 꼽는다.
Cf. 창의적인 사람은 모호성을 잘 견디고 과제집착력이 높은 경향이 있다.(O)

 

8)      다문화교육

 - 대표: 뱅크스
 
 


 
이상 교육학개론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교육학개론을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교육학개론을 정리해 놓은 이전 포스팅도 덧붙여놓겠습니다.
 
교육학개론 교육의 의미, 교육과 훈련 교화 차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