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9급 공무원 한국사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기출 선지 정리

by ongikku 2023. 3. 17.
반응형

9급 공무원 한국사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기출 선지 정리

 
이번 포스팅은 9급 공무원 수험공부에 필요한 한국사 중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에 대한 기출 선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같은 시기였던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을 비교하면서 나오는 기출 선지가 자주 나오므로, 각 나라의 특징을 정리해 두며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부여

  • 마가, 우가, 저가, 구가라고 불리는 사출도가 있었다.
  • 부여의 창고에는 옥으로 된 벽이 있었다.
  • '예왕지인'이라는 키워드가 부여에 해당된다.
  •  "성책을 둥글게 만들었는데 마치 감옥 같았다."
  • 특산물로 말, 주옥, 모피가 있었다.
  • 도둑질하면 12배를 배상해야 하는 1 책 12 법이 있었다.
  • 얼음을 넣어 장사를 지냈다.
  • 우제점법이 있었다.

 
 


 

 

- 고구려

  • 부여의 별종이라고 불렸다.
  • 연노부, 절노부, 순노부, 관노부, 계루부라는 5 부족이 존재했다.
  • 상가, 대로, 고추가가 있었다. 
  • "국동대혈"이라는 제사를 지내는 곳이 있었다.
  • 동맹이라는 축제를 열었다.
  • 부여와 같이 1 책 12 법이 있었다.
  • 서옥제, 부경이 존재했다.
  • 돌무지무덤, 적석총, 우제점법이 있었다. 
  • 재물을 후하게 써서 장례를 치르는 후장이라는 문화가 있었다.

 


 

- 옥저

  • 후, 읍군, 삼로가 존재했다.
  • 가족 공동묘, 골장제라는 문화가 있었다.
  • 결혼한 여자가 남자 집에 들어가서 사는 민며느리제 문화가 있었다.
  • 함경남도 부근, 황초령비가 위치했다.

 
 
 

반응형

 

- 동예

  • 후, 읍군, 삼로가 존재했다.
  • 무천이라는 축제가 열렸다.
  • 철자, 여자형 집터가 존재했다.

 


 

- 삼한

  • 신지, 읍차가 존재했다.
  • 5월, 10월에 계절제가 열렸다.
  • 변한 은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했다.
  • 천군, 소도라는 곳이 있었다.
  • 큰 새의 깃털을 장례에 사용했다.
  • 소와 말을 순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 머리를 누르는 편두의 풍습이 있었다. 

 


 
여기까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에 관한 문화적 특징과 기출 선지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부하시면서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한국사에 관한 이전 포스팅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9급 공무원 수험 한국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 철기 동굴 및 토기 ~ 고조선 기록까지 총 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