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9급 공무원 수험 한국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 철기 동굴 및 토기 ~ 고조선 기록까지 총 정리

by ongikku 2023. 3. 14.
반응형

 

9급 공무원 수험 한국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 철기 동굴 및 토기 /

고조선 기록까지 총 정리 

 
 
9급 공무원에 필수로 공부해야 하는 한국사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처음으로 배우게 되는 한국사 내용 중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를 거쳐 초기 철기까지 선사시대의 내용을 정리하고, 고조선과 관련된 기록과 유물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사시대 자주 나오는 기출 개념 및 오답 선지 정리 

 

1) 구석기

구석기 유적 중 가장 헷갈리고 기출에 자주 나오는 부분은 바로 동굴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굴을 중심으로 외우는 게 좋습니다. 구석기 유물은 뗀석기, 주먹도끼 등 다양한 것이 많지만 이런 유물은 너무 기초적인 것이라 기출에도 잘 안 나올뿐더러 나와도 다 맞는 선지이기 때문입니다. 구석기 유적 중 오답 선지가 가장 많고 기출에서도 자주 나오는 내용은 동굴을 구분하는 내용이니 잘 구분해서 기억해두어야 합니다. 
 

-  유적 및 동굴 

  • 최초로 발견된 동굴 : 함경북도 종성 동관진
  • 최초로 발굴된 동굴: 북한은 웅기 굴포리 동굴이, 남한은 공주 석장리 동굴이 최초로 발굴되었습니다.
  • 최고로 오래된 동굴: 단양 도담리 금굴
  • 그 밖에 구석기를 대표하는 동굴로는 상원 검은모루동굴, 승리산인이 발굴된 덕천 승리산 동굴, 상시리 바위그늘, 대전 용호동 그늘, 단양 수양개 그늘, 흥수아이가 발굴된 청원 두루봉 동굴이 있습니다. 

 


 
 

2) 신석기

- 유적 

신석기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제주도 한경 고산리 유적, 평양 남경 유적, 봉산 지탑리 유적이 있습니다. 특히 봉산 지탑리 유적은 탄화된 좁쌀이 나온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 외에도 강원도 양양 오산리 유적, 부산 동삼동 유적과 첨저형 빗살무늬 토기가 발견된 서울 암사동 유적 등이 신석기의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 토기

신석기의 대표적인 토기로는 빗살무늬 토기와 함께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눌러찍기 토기가 있습니다. 특히 덧무늬 토기는 청동기 토기로 오답을 유도하는 선지로 여러 번 나온 적 있으니 주의해서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 기타 특징

신석기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패총이라는 조개 무덤이 대표적인 구분 선지로 자주 출제가 되며, 흑요석을 통해 원거리 교역을 하였다는 사실 역시 신석기로 구분되는 주요한 선지 중 하나입니다. 
 


 

3) 청동기

- 유적 

청동기를 대표하는 유적으로는 바퀴날도끼, 간돌검, 반달 돌칼, 홈자귀, 고인돌, 돌널 무덤, 직사각형 모양의 지상 움집 등이 있습니다. 또한 목책과 환호가 대표적인 청동기의 키워드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유적으로는 강화, 화순, 고창 지역이 있습니다. 
 

- 토기

청동기의 주요한 토기는 붉은 간토기, 민무늬토기 등이 있습니다. 철기의 검은 간토기와 신석기의 이른 민무늬 토기와 구별해두어야 합니다. 
 

- 기타 특징

고조선의 세력 범위는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과 미송리식 토기, 탁자식(북방식) 고인돌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4) 초기 철기

  • 초기 철기 시대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 발전을 확인할 수 있었던 키워드는 거푸집, 세형 동검, 잔무늬 거이 있습니다.
  • 널무덤, 독무덤, 옹관묘, 주구묘, 돌덧널무덤은 초기 철기 시대의 무덤입니다. 돌덧널무덤과 구별되는 돌무지 덧널무덤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입니다. 돌덧널무덤과 돌무지 덧널무덤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비파형 동검은 요령, 만주,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청천강 이남에서 비파형 동검이 발견되었다는 선지는 틀립니다. 
  • 초기 철기 시대의 토기로는 덧띠 토기와 검은 간토기가 있습니다. 
  • 철제 농기구가 보편화된 것은 초기 철기 시대가 아닌 6세기 이후입니다. 

 
 


 

단군 관련 기록

다음은 단군 관련 기록이 있는 대표적인 서적들입니다. 단군 기록이 실린 것과 실리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문제로 자주 나오기 때문에 알아두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 고려 시대: 삼국유사(일연, 충렬왕 시기), 제왕운기(이승휴, 충렬왕 시기)에 기록됨
  •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 응제시주(권람, 세조 시기), 동국통감(서거정, 성종 시기), 동국여지승람(성종 시기), 표제음주동국사략(중종 시기)에 기록됨
  • 단군 신화의 내용이 고기에 수록되었습니다. 관자에 단군 신화에 대한 내용이 최초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이익은 단군 - 기자 - 마한 정통론으로 이어지는 역사 인식을 보입니다.
  • 안정복은 단군 - 기자 - 마한 (삼국 무통) - 통일 신라 -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 인식을 보입니다. 

 


 

고조선 역사

  • 여고동시
  • 단군은 제사장, 왕검은 정치적 지배자를 의미합니다
  •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 요령 중심에서 대동강 중심으로 이동됨.
  • 준왕 시기: 왕위 부자 상속으로 바뀜
  • cf. 전연의 공격으로 심한 타격을 받음은 고조선에 해당하는 선지가 아닌, 부여나 고구려 고국원왕 시기에 해당하는 선지입니다. 

 

위만 조선

1) 상, 장군, 비왕, 태자 등 관직이 세분화됨.
2) 진번, 임둔 등 주변 지역을 복속함.
3) 남려가 항복하고, 창해군을 설치함.
 
 
 

고조선 멸망

1) 한4군 설치(추후 낙랑군, 대방군을 고구려 미천왕이 정복합니다.)
2) 8조법 제정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이고, 남에게 상처 입힌 자는 곡식으로 배상한다) 
 
 


 
이상 한국사 선사시대부터 고조선까지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부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다음에 차근차근 다른 내용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