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공무원 한국사 고려 암기 사항 중앙 관직 제도, 전시과 종류 정리

by ongikku 2023. 6. 27.
반응형

한국사 대표이미지

 

공무원 한국사 고려 암기 사항 중앙 관직 제도, 전시과 종류 정리

 

 

공무원 한국사 기출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고려의 중앙 관직제도인 2성 6부제, 중추원, 삼사, 도병마사, 식목도감, 대간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헷갈릴 수 있는 전시과 토지 종류를 정리하였습니다. 한국사 필기 시험, 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도 참고해보세요.

 

 

한국사 고려시대 토지제도 (녹읍, 시정전시과, 개정전시과, 경정전시과) 비교

한국사 고려 왕 계보 및 연도, 업적 정리

한국사 발해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공무원 한국사 통일신라 역대 왕 순서, 업적 및 문화 정리

신라 왕 계보 및 업적, 문화, 비석 정리

 

반응형

 

 


 

고려의 중앙 관제

2성 6부제 

  • 중서문하성 : 문하시중이 수상 담당, 재신낭사로 이루어짐
  • 상서성: 상서령, 6부 관장, 정책 집행 담당

 

중추원

  • 국가 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을 출납하는 승선으로 구성

 

삼사

화폐, 곡식의 출납을 담당하는 회계 기관

 

 

 

도병마사 / 식목도감

  • 중서문하성의 재신, 중추원의 추밀로 구성됨
  • 고려의 독자적 관제
  • 합좌기구
  • 도병마사: 국방 문제를 회의하던 담당 기구.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로 확대 개편되었다.
  • 식목도감: 법령 및 각종 시행 규정을 담당한 기구. 도병마사보다 격이 낮아 점차 도당에 흡수되었다.

 

 

대간 

  •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하급 관리인 낭사로 구성됨 
  • 인사와 법 제정을 논의할 수 있는 서경권 존재
  • 국왕의 잘잘못을 논할 수 있는 간쟁권 존재
  • 국왕의 부당한 조치를 거부할 수 있는 봉박권 존재

 


 

고려의 사회 기관 정리

  • 의창(흑창): 농민 구휼
  • 상평창개경,서경,12목에 설치물가 조절
  • 동서대비원환자 진료빈민 구휼개경 설치(서경 분사)
  • 혜민국의약 담당
  • 구제도감/구급도감재해 발생시 치료구제임시기구
  • 제위보광종 설치빈민 구제

 


고려 전시과 토지 종류

  • 공음전: 5품 이상 관료의 특권으로 면세권 도입, 경정 전시과 때 도입되었다.
  • 외역전: 향리에게 지급됨.
  • 군인전: 군인에게 지급됨. 개정 전시과 때 도입됨
  • 구분전: 하급 관리나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됨
  • 한인전: 하급 관리의 관직 없는 자제에게 지급됨. 개정 전시과 때 도입됨
  • 별사전: 승직, 지리업 종사자에게 지급됨. 경정 전시과 때 도입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