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 한국사 고려 암기 사항 중앙 관직 제도, 전시과 종류 정리
공무원 한국사 기출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고려의 중앙 관직제도인 2성 6부제, 중추원, 삼사, 도병마사, 식목도감, 대간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헷갈릴 수 있는 전시과 토지 종류를 정리하였습니다. 한국사 필기 시험, 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도 참고해보세요.
한국사 고려시대 토지제도 (녹읍, 시정전시과, 개정전시과, 경정전시과) 비교
공무원 한국사 통일신라 역대 왕 순서, 업적 및 문화 정리
반응형
고려의 중앙 관제
2성 6부제
- 중서문하성 : 문하시중이 수상 담당, 재신과 낭사로 이루어짐
- 상서성: 상서령, 6부 관장, 정책 집행 담당
중추원
- 국가 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을 출납하는 승선으로 구성
삼사
화폐, 곡식의 출납을 담당하는 회계 기관
도병마사 / 식목도감
- 중서문하성의 재신, 중추원의 추밀로 구성됨
- 고려의 독자적 관제
- 합좌기구
- 도병마사: 국방 문제를 회의하던 담당 기구.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로 확대 개편되었다.
- 식목도감: 법령 및 각종 시행 규정을 담당한 기구. 도병마사보다 격이 낮아 점차 도당에 흡수되었다.
대간
-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하급 관리인 낭사로 구성됨
- 인사와 법 제정을 논의할 수 있는 서경권 존재
- 국왕의 잘잘못을 논할 수 있는 간쟁권 존재
- 국왕의 부당한 조치를 거부할 수 있는 봉박권 존재
고려의 사회 기관 정리
- 의창(흑창): 농민 구휼
- 상평창: 개경,서경,12목에 설치, 물가 조절
- 동서대비원: 환자 진료, 빈민 구휼, 개경 설치(서경 분사)
- 혜민국: 의약 담당
- 구제도감/구급도감: 재해 발생시 치료, 구제, 임시기구
- 제위보: 광종 설치, 빈민 구제
고려 전시과 토지 종류
- 공음전: 5품 이상 관료의 특권으로 면세권 도입, 경정 전시과 때 도입되었다.
- 외역전: 향리에게 지급됨.
- 군인전: 군인에게 지급됨. 개정 전시과 때 도입됨
- 구분전: 하급 관리나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됨
- 한인전: 하급 관리의 관직 없는 자제에게 지급됨. 개정 전시과 때 도입됨
- 별사전: 승직, 지리업 종사자에게 지급됨. 경정 전시과 때 도입됨
반응형
'공무원 수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강원도 지방직 9급 공무원 필기시험 응시율 정리 (0) | 2023.06.28 |
---|---|
한국사 고려시대 불교 균여 의천 지눌 혜심 비교 및 정리 (0) | 2023.06.28 |
2023년 서울시 교육청 9급 지방직 교행직 임용 필기시험 응시율 실경쟁률 정리 (0) | 2023.06.26 |
2023년 인천시 지방직 공무원 9급 필기시험 응시율 정리 (1) | 2023.06.22 |
2023년 지방직 공무원 9급 임용 필기 시험 경기도 직렬별 응시율 정리 (0) | 2023.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