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한국사 고려시대 불교 균여 의천 지눌 혜심 비교 및 정리

by ongikku 2023. 6. 28.
반응형
한국사 대표이미지

 

한국사 고려시대 불교 균여 의천 지눌 혜심 비교 및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 사상, 균여, 의천, 지눌, 혜심을 비교 및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공무원 한국사 필기시험이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주제이기도 하니 잘 정리해두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도 참고해보세요.
 
 
 
공무원 한국사 고려 암기 사항 중앙 관직 제도, 전시과 종류 정리
한국사 고려시대 토지제도 (녹읍, 시정전시과, 개정전시과, 경정전시과) 비교
한국사 고려 왕 계보 및 연도, 업적 정리
한국사 발해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공무원 한국사 통일신라 역대 왕 순서, 업적 및 문화 정리
 
 
 

반응형

 
 
 


 

균여

  • 화엄 사상
  • 법상종을 흡수하여 성상윤회 표방함

 

스님(=균여)은 항상 남악과 북악 종문의 취지가 모순인 채 분명하지 않음을 탄식하고,
그것이 여러 갈래로 갈라짐을 막아 한 길로 돌리고자 했다.
- 균여 사료 중

 


 
 

의천

  • 화엄종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함
  • 흥왕사, 국청사
  • 해동 천태종 창시로 선종 통합
  • 주전도감 설치
  • 화폐 주조
  • 교관겸수, 내외겸전 제창
  • 대장도감 설치
  • 저서: 천태사교의주
  • 숙종 시기 문종의 아들

 


 
 
 

지눌

  • 사상: 돈오점수, 정혜쌍수
  •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함
  • 선교일치 사상을 완성함
  • 수선사 결사, 정혜결사 등 신앙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 조계종단을 창시함
  • 간화선을 도입하여 이후 학교 불교계의 주류로 정착하였다
  • 승례 본연의 자세 중시
  • 독경과 선 수행 중심
  • 저서: 목우자수심결

 

지금의 불교계를 보면 자신을 내세우고 이익을 구하는 데 열중하며 세속의 일에 골몰한다. 도덕을 닦지 않고 옷과 밥만 허비하니 비록 출가하였다고 하나 무슨 덕이 있겠는가. 
한마음을 깨닫지 못하고 한없는 번뇌를 일으키는 것이 중생인데, 부처는 이 한마음을 깨달았다.
깨닫고 아니 깨달음은 오직 한마음에 달려있는 것이니... 
- 정혜결사, 1190, 지눌

 


 
 

요세

  • 백련결사
  • 참회 수행과 법화 신앙 강조
  • 미타정토신앙을 실천행으로 강조하는 결사운동을 전개함

 

 


 

 

혜심

  • 유불일치설 강조

 

공은 불교의 유생이고 저는 유교의 불자입니다. 
불교와 유교는 그 이름만을 생각한다면 아주 다르지만, 그 실체를 알면 다른 것이 아닙니다.
- 혜심




 

보우

  • 임제종
  • 공민왕 때 왕사로 발탁됨
  • 9산 선물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함
  • 한양 천도 주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