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백제 문화 정리

by ongikku 2023. 3. 24.
반응형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백제 문화 정리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백제 왕 계보와 업적을 살펴보겠습니다. 또 백제의 석탑, 비석, 역사 지구 등 자주 나오는 문화 부분도 정리해두었습니다. 
 

더보기

목차

 

1.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2. 백제의 고분

3. 백제의 석탑

4. 백제의 비석

5. 백제의 역사지구

6. 백제의 문화 전파

 
 


 

1. 백제 왕 계보 및 업적

고이왕

  • 6좌평, 16관등제
  • 율령을 반포하였다.
  • 왕과 귀족이 모여 정사를 보는 남당을 설치하였다.

 
 
 

근초고왕

  • 마한을 정복하고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평양성을 공격하였을 때 고국원왕이 사망함)
  • 규수와 요서 지방을 진출하였다.
  • 왕위를 부자 관계로 상속시켰다.
  • 아직기와 왕인을 파견하였다.  (불교를 전한 건 성왕의 노리사치계로, 자주 헷갈리게 나오니 구별하여야 한다)
  • 고흥에게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영양왕의 유기, 신집과 구별하여야 한다.)

 

침류왕

  • 마라난타에게 불교를 수용하였다.

 

비유왕

  • 신라의 눌지왕과 결혼 동맹을 맺었다. 시기는 평양으로 수도 천도 후, 웅진으로 천도하기 전이다. 

 
개로왕 사망(백제왕 부여경)
 
 

문주왕

  •  수도를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동성왕

  • 신라의 소지왕과 결혼 동맹을 맺었다.

 
 

무령왕

  •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중국 남조의 양과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오경박사인 단양이와 고안무를 왜국에 보내 문화를 전승시켰다.
  •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으로도 사료에 실려있다.

 
 

성왕

  • 나라를 남부여로 개칭하였다.
  • 22부를 두었다.
  • 수도 5부와 지방에 5방을 설치하였다.
  • 수도를 사비로 천도하였다. (시기는 신라의 진흥왕 이전이다.)
  • 노리사치계가 불교를 전파하였다. (시기는 신라의 거칠부 국사 편찬 이후)

 
 

무왕

  • 사택적덕의 따님 사료가 자주 나온다.
  • 사비에 왕흥사를 낙성하였다.
  • 익산으로 수도 천도를 시도하였다.
  • 미륵사를 건립하였다.

 
 

의자왕

  • 백제가 멸망하였다.

 
660년 

  • 백제 부흥운동이 전개되었다.
  • 대표적 인물로는 복신, 왕자 풍, 흑치상지가 있다.

 
663년

  • 계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 지수신이 망명 되었다.

 
 


 

2. 백제의 고분

고분

  • 계단식 돌무지무덤: 대표적인 예시로 석촌동 고분이 있다.
  • 벽돌무덤: 대표적 예시로 송산리 고분군 6호, 송산리 고분군 7호, 무령왕릉이 있다.
  • 굴식 돌방무덤: 대표적 예시로 송산리 고분군 1호부터 5호까지, 능산리 고분군 등이 있다. 

 

무령왕릉 자주 나오는 선지 정리

  • 웅진 시기 건립되었다.
  • 벽화가 없었다.
  • 축조 연대를 알려주는 지석이 있었다.
  • 토우가 없었다.

 


 

3. 백제의 석탑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4. 백제의 비석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 백제의 미소로 유명하다.
  • 사택지적비: 인생의 무의미함을 담고 있는 비석이다.
  •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사비에 있다. 소정방 백제 평정 사실을 기록하여 평제탑이라고도 불린다.
  • 미륵사지 석탑: 목탑 양식으로 사비에 있는 가장 오래된 현존 탑이다.

 


 

5. 백제의 역사지구

  • 공주: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 부여: 관북리, 부소산성, 능산리, 정림사지, 나성
  • 익산: 왕궁리, 미륵사지

 


 
 

6. 백제의 문화 전파

  • 아직기: 한자를 전파하였다.
  • 왕인: 천자문과 논어를 전파하였다.
  • 노리사치계: 불상을 전파하였다.
  • 백제의 문화는 아스카 문화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공무원 한국사 고구려 왕 계보 및 업적 정리 & 고구려 문화 특징까지
9급 공무원 한국사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기출 선지 정리
9급 공무원 수험 한국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 철기 동굴 및 토기 ~ 고조선 기록까지 총 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