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수험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요약 정리 조선 전기 (태종 ~ 효종)

by ongikku 2023. 10. 9.
반응형

대표이미지

 

[공무원, 한능검] 한국사 요약 정리 조선 전기 (태종~효종)

 

조선시대 전기 농업 특징

전기 농업  조, 보리, 콩의 2년3작 확대

시비법 발달, 휴경지 소멸, 연작 상경 일반화

, 보리 이모작 가능해짐, 남부 지방 모내기 확대 보급

목화 재배 확대되어 의생활 개선

 

 

태종

<태종, 6조직계제> “임금인 내가 어찌 고생스러움을 피하겠는가

 경시서: 시전 통제, Not 지방 장시 (시전이 보부상 관장X)

잡색군

 

 

 

 

 세종 

<계해약조> 세견선 50, 세사미두 200

<세종, 농사직설> 정초. 녹비법을 활용하여 지력 회복, 이앙법 소개, 직파법 장려

cf. 세종 편찬 서적: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신주무원록, 의방유취, 삼강행실도, 칠정산, 총통등록, 여민락, 정간보

 

 

 

 

 세조

직전법: 현직 관리에게만 지급, 수신전.휼양전 폐지

 <이시애의 난> 함경도 토착 세력 이시애가 유향소 거점으로 난 -> 이시애의 난 진압 후 유향소 폐지

강희안 양화소록: 화초재배법 소개

 

 

 

성종

<서거정, 동문선> “우리 동방의 문은 송과 원의 문도 아니고 한과 당의 문도 아니며 바로 우리나라의 문입니다..” ->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글에 대한 자주 의식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편년체>

 

 

 

 

연산군

<무오사화> “초나라 희왕, 의제 조문김일손 사초->김종직 숙청

<갑자사화> 어머니를 폐비한 일을 원망

 

 

 

 

중종

1512 <임신약조> “삼포에 거주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고, 세견선 50척을 절반으로 감하고” -> 제포만 개항, 세견선 25, 세사미두 100

 

<기묘사화> “뇌물을 바쳐서 공신이 된 자를 공신록에서 삭제

<서경덕>: 성종~명종, 이보다 기 중심으로 노장 사상에 개방적

 

 

 

명종

<을사사화> “대윤, 소윤” -> 문정왕후 수렴청정

이황, 예안향약, 주리론, 이기호발설, 동방의 주자

 

 

 

 

선조

<성학십도> “노력하면 나도 순임금처럼 될 수 있다

동서분당   신진 동인 김효원척신 청산 적극” vs 기성 서인 심의겸

정여립      동인 -> 남인+북인 분열

건저        서인 정철 타격

 

이이 업적 및 저서:  해주향약, 동호문답, 수미법, 소학 장려, 격몽요결, 성학집요

<이이, 기자실기>: “200년을 지내 지금 중쇠에 이르렀으니 천명을 연속시킬 때, 기자께서 우리 조선에 들어와서 오랑캐의 풍속을 변화시켜 문화 융성

 

 

임진왜란 순서

- 산진(정발), 래성(송상현)

 - (이일)

 - 주 탄금대(신립

  한양 함락), 선조 의주 피난

 - 포해전(이순신), 천포(거북선)

 - 당포, 당항포 해전

  평양 함락

 - 산도대첩(학익진)

 - 주대첩(김시민)

 평양성 탈환(유성룡+이여송) ”

 - 제관(이여송), 주대첩(권율)

 - 주 패배, 훈련도감 설치

 한양 복귀

 1597 휴전 결렬, 정유재란, 이몽학의 난

 - 천량(원균),

 - , 량대첩

 

 

 

 

 

광해군

 기유약조: 세사미두 100, 세견선 20척, 기유약조 후 통신사 파견(1636)

통신사: 에도 막부 요청으로 파견, 일본 내 국학운동으로 중단

 

 

 

인조

인조반정, 모문룡 가도사건

어영청 설치

이괄의 난

총융청, 수어청 설치

 

<정묘호란>

배경: 이괄의 난, 모문룡의 가도 주둔

전개: 인조 강화도 피난, 소현세자 분조, 정봉수(용골산성), 의립(의주)

결과: 강화, 형제 관계 체결

 

 

 

 

효종

북벌론(어영청 강화, 남한산성 복구)

나선 정벌 

설점수세제 시행, 시헌력 도입, 양척동일범

하멜 훈련도감 소속

나선정벌 영고탑, 조총 부대 파견 

 

<병자호란>

배경: 청 군신관계 요구

전개: 인조, 소현세자 남한산성 피난, 왕실 강화도 피난

결과: 삼전도 굴욕, 군신 관계 체결

 

신속, 농가집성

 

 

 

현종

<1차 기해예송> 인조의 계비, 서인 1년복 승리 -> 경국대전 규정에 따라 기년복으로 결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