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공무원 승진 최저연수 계급별 승진소요 연한 기간 정리
2023년 12월 19일 공무원 승진에 필요한 최저승진연수가 단축되었습니다. 요새 저연차 공무원이 면직을 많이 함에 따라 저연차 공무원 계급의 승진 소요연한을 단축시킨 것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무원이 승진할 때 필요한 최저 승진연수가 직급마다 어떻게 다른지 기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개정 사항을 통해 성과와 역량이 뛰어난 공무원은 근무 연차가 짧더라도 승진할 수 있도록 승진에 필요한 최저 근무연수를 총 16년에서 11년으로 단축되었습니다. 또한 2명 이상의 미성년 자녀가 있는 사람은 퇴직 후 10년까지 공무원 경력채용에 응시할 수 있고, 다자녀를 키우는 8급 이하 공무원에 대한 승진 우대 근거도 마련되었습니다.
공무원 승진에 필요한 최저연수를 계급별로 얼마나 필요한지 그 승진 소요 연한 기간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승진 최저연수 계급별 승진소요연한 기간
계급 | 현행 | 개선 |
9급 → 8급 | 1년 6개월 | 1년 (-6개월) |
8급 → 7급 | 2년 | 1년 (-1년) |
7급 → 6급 | 2년 | 1년 (-1년) |
6급 → 5급 | 3년 6개월 | 2년 (-1년 6개월) |
5급 → 4급 | 4년 | 3년 (-1년) |
4급 → 3급 | 3년 | 3년 |
합계 (9급 → 3급) | 16년 | 11년 |
9급 공무원이 8급으로 승진하려면 현행 기준으로 1년 6개월이 소요되었지만, 개선된 법안을 따라 올해부터 임용 후 1년이 지나면 8급으로 승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8급 공무원이 7급 공무원으로 승진하려면 현행 기준 2년이 소요되었지만, 1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9급 공무원이 7급 공무원으로 승진하기까지 9급 공무원으로 임용된 이후 최소 2년이 지나면 승진할 수 있게 법이 바뀐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7급 공무원이 6급 공무원으로 승진하려면 현행 기준으로 2년은 충족해야 했지만, 1년이 줄어들어 이제는 임용 후 1년만 지나면 7급 공무원이 6급으로 승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승진에 필요한 최소 소요연한으로, 실제로 9급에서 8급은 자동으로 승진되는 경우가 많지만 8급에서 7급으로 승진하거나, 7급에서 6급으로 승진하는 경우 1년만 지나면 자동 승진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 8급 이후부터는 승진 순위에 따라 승진이 되므로, 7급에서 6급으로 되기까지 1년만 기다리면 자동으로 승진하지 않고 더 오랜 기간이 걸린다고 봐야겠죠. 하지만 최소 소요 연한이 줄어든 것은 분명 저연차 계급에서 이득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공무원 승진에 필요한 승진 최소 소요 연한 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이만 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슬기로운 공무원 생활 > 공무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출산 복지 교직원공제회 출산축하금 신청 방법 (0) | 2024.10.08 |
---|---|
공무원 명절휴가비 얼마, 출산휴가 육아휴직 지급 기준 정리 (0) | 2024.09.17 |
2024년 공무원 출산축하금 신청 방법 및 신청 서류 파일 다운로드 (0) | 2024.07.28 |
온라인 정부24로 공무원 육아휴직증명서, 재직증명서 발급 방법 (0) | 2023.12.22 |
2024년 학교회계 예산편성기본지침 예산 과목 주요 변경사항 정리 (1) | 2023.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