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공무원, 교직원공제회 가입하기 1편: 장기저축급여 가입
이번에 임용되고 나서 교직원공제회 가입으로 은근히 애를 먹고 있는데요. 신규로 임용된 공무원분 들이 저뿐만 아니라 몇몇 분들은 교직원공제회 가입 절차로 조금 번거로운 부분이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오늘 포스팅은 교직원공제회 가입하는 절차를 하나하나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교직원공제회 가입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될 것 같아요.
교직원공제회 가입 및 장기저축급여 가입 및 필요한 구비 서류 (공무원인 경우)
- 공무원연금가입자 중 교원, 대학병원 의사 및 간호사, 정규직 직원에 해당하는 경우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
교직원공제회를 가입하려면 먼저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가 필요합니다! 먼저 준비해두고 가입 신청을 해야 번거로움이 없더라고요. 그런데 저는 공무원 연금가입내역서를 어디서 받는건지 잘 몰라서 한참 헤맸습니다.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 받는 방법
1.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2. 위 오른쪽에 있는 연금복지포털 로그인 클릭
3. 회원가입
4. 회원가입을 하고 몇 주동안은 보이지 않아요. 일단 회원가입을 하고 기다려줍니다. 신규 임용된 후 몇 주 기다리면 (첫달 급여를 받고 난 이후 정도) 메뉴가 생깁니다.
5. 민원서류발급 - 민원서류 발급 온라인신청 메뉴 클릭
6. 발급신청 란에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를 선택 후 제출용(해당하는 것으로 아무거나) 사유 클릭 후 신청하면 끝!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를 받는 절차는 어렵지 않은데, 한동안 메뉴가 보이지 않아서 조금 당황했었습니다. 신규 임용된 분들은 몇 주 기다리면 메뉴가 뜨니, 급여를 받고난 이후 다음달에 진행하면 됩니다. 저는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를 인쇄하고 스캔했습니다.
그럼 이제 준비서류를 구비했으니 신청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필요 준비물: 개인 은행 명의의 공인인증서
1. 교직원공제회 사이트 접속
교직원공제회 사이트는 ktcu.or.kr로 들어가면 되는데요.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그런 다음 저기 노란 표시로 되어 있는 장기저축급여 가입을 누릅니다.
2. 장기저축급여 가입

장기저축급여 가입신청에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뜨는데요. 해당하는 가입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직종은 해당하는 사항에 누르면 되는데, 저는 직원(정규직)으로 체크했습니다. 다음으로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관한 동의에 대해 선택해줍니다. 저는 필수사항만 동의 눌렀습니다.
가입구좌는 자유롭게 선택하고,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에 첨부파일을 올려줍니다. 이후 공동인증서를 통해 인증하면 가입 신청 완료!
그럼 다음달부터 월급에서 교직원 공제회 기여금이 납부되는데요, 1-2달 정도 내고 나면 장기저축급여 정상 납부 되었다는 문자가 오면서 가입 축하 선물을 선택하라는 안내가 옵니다!

고를 수 있는 가입기념선물은 아래와 같아요.

이상 교직원공제회 가입하는 방법과 공무원연금가입내역서를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신규로 임용된 공무원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오늘은 이만 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슬기로운 공무원 생활 > 공무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 주요내용 (1) | 2023.11.13 |
---|---|
공무원 시보해제 전에 육아휴직 가능할까? + 육아휴직 절차 방법 (1) | 2023.10.19 |
서울시 교육행정직 공무원 현실 : 신규 하는 일 및 업무 정리 (1) | 2023.10.17 |
9급 공무원 지방직 서울교행 월급 실수령액 (feat. 명절휴가비 포함) (0) | 2023.09.23 |
신규 교직원 잠복결핵검사 어디서 하는 지, 비용 및 후기까지! (3) | 2023.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