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공무원 봉급표 , 교원 봉급표, 우정직 봉급표 9급 ~ 1급까지 정리
2023년, 인사혁신처가 공무원의 봉급을 인상하였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9급부터 1급까지 인상률도 다르고, 직종별로 인상별도 다른 만큼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찾으시는 일반직 공무원의 봉급표와 교원의 봉급표, 우정직 봉급표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2023년 인상되는 봉급표를 확인해 보시면서, 기본급이 얼마나 되는지 참고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호봉제 및 연봉제 차이
공무원의 봉급은 크게 호봉제와 연봉제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도 연봉제는 고정급적 연봉제, 성과급적 연봉제, 직무성과급 연봉제로 구분됩니다. 직위별로 연봉이 고정되는 고정급적 연봉제는 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정무직 공무원은 일반직 공무원과 달리 성과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개별직위마다 고정된 연봉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고정급적 연봉 대상자는 공무원 보수규정에서 정한 연봉 이외에도 가족수당과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등을 지급받습니다.
성과급적 연봉제는 일반직, 별정직 등 1~5급 상당의 공무원과 임기제 공무원을 대상으로 합니다. 성과급 연봉제는 계급별로 지급되는 기본연봉과, 업무실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되는 성과연봉으로 구성됩니다. 연봉 외 급여로는 가족수당, 시간 외 근무 수당, 연가보상비, 직급보조비, 특수군무수당, 정액급식비 등이 별도로 지급됩니다.
호봉제는 호봉에 따라 봉급이 올라가는 제도로 일반직 공무원 대부분이 해당됩니다. 공무원의 경우, 매년 정기승급을 통해 호봉이 올라가도록 되어있습니다. 호봉체계에 따른 봉급표는 직종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봉급 외에 각종 수당이 지급됩니다. 오늘 살펴볼 사항은 바로 일반직 공무원 및 그에 준하는 별정직 공무원이 받게 되는 호봉제 봉급표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공무원 보수, 작년 대비 얼마나 올랐을까?
공무원 보수가 2022년 대비 1.7% 인상되었습니다. 9급 초임의 봉급액은 무려 5%가 올랐고, 4급 이상 공무원 보수는 동결되었습니다. 장, 차관 이상 정무직 공무원은 취약계층에게 연봉의 10%를 기부한다고 합니다. 5급 이하 공무원의 보수는 기본급을 기준으로 올해 1.7%가 인상되었는데, 8,9급 공무원은 기본급에 추가 인상률이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8,9급 공무원은 직급보조비도 15만 5,000원에서 17만 5,000원으로 2만 원이 올랐습니다. 일반직 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이 받는 봉급표를 보면서 각각 얼마를 받게 되는지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직 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이 받는 봉급표
9급 초임은 5% 인상률이 적용되어 기본급 봉급으로 월 1,770,800원을 받습니다. 기본급은 초과근무와 가족수당 등은 제외한 수당입니다. 따라서 정근수당과 초과근무수당, 가족수당 등 각종 수당을 합치면 더 많이 받게 됩니다. 작년 기준으로 9급 1호봉은 약 168만원 정도였는데, 약 11~12만 원 정도가 오른 금액입니다. 9급 1호봉이 인상률이 제일 많습니다. 9급 2~5호봉은 2.7~4.7% 기본급 인상률이 적용되었습니다. 8급 1호봉은 작년 대비 4.9%가 인상된 1,805,100원을 받고, 2호봉은 작년 대비 3.3%가 인상된 1,863,600원을 받습니다. 7급 1호봉은 1,962,300원으로 올랐습니다. 7~9급 공무원은 생각보다 많이 오른 금액인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받는 봉급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받는 봉급표
호봉 | 봉급 |
1 | 1,728,900 |
2 | 1,781,300 |
3 | 1,834,400 |
4 | 1,887,300 |
5 | 1,940,700 |
6 | 1,993,900 |
7 | 2,046,600 |
8 | 2,099,100 |
9 | 2,152,400 |
10 | 2,210,700 |
11 | 2,267,700 |
12 | 2,326,000 |
13 | 2,432,000 |
14 | 2,538,300 |
15 | 2,644,600 |
16 | 2,751,100 |
17 | 2,856,300 |
18 | 2,966,500 |
19 | 3,076,000 |
20 | 3,185,700 |
교원의 봉급표는 20호봉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교원의 1호봉은 1,728,900원입니다. 2호봉은 1,781,300원을 받게 됩니다. 교원은 7호봉부터 200만 원이 넘는 봉급을 받게 되는데, 2,046,600원을 받게 됩니다. 교원의 기본급 또한 담임수당, 가족수당 등 각종 수당이 제외된 봉급이기 때문에, 실수령액과는 많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교원을 준비하시는 분들, 교원이 되신 분들은 2023년에 인상된 봉급표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반직 우정직군 공무원 봉급표
다음은 우정직군이 받게 되는 봉급표입니다. 우정9급이 초임으로 받는 1호봉은 1,770,800원입니다. 2호봉은 1,789,800원, 3호봉은 1,821,500원을 받게 됩니다. 기본급은 이 정도이지만, 마찬가지로 다른 각종 수당이 더해져서 실수령액은 더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우정직 공무원의 직급 보조비는 8,9급은 175,000원, 7급은 180,000원, 6급은 185,000원, 5급은 250,000원입니다.
이상 2023년에 인상된 공무원 봉급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봉급을 확인하실 때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이만 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무원 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연가보상비 지급대상, 지급액 및 연가보상일수 계산 방법 (0) | 2023.03.18 |
---|---|
2023년 기준 공무원 수당(특수근무수당, 육아휴직수당, 초과근무수당, 실비변상 등) 총 정리 (0) | 2023.03.16 |
공무원 유튜브 허가 받는 방법, 영리업무종사 및 겸직 허가 기준 자세히! (0) | 2023.03.12 |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시간 외 근무수당 산정방법 및 계산 자세하게 총정리! (0) | 2023.03.11 |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지급대상, 지급액 조건별, 복직 후 지급액 총 정리 (2) | 2023.03.11 |
댓글